728x90
반응형
Backend/Node.js2024. 12. 15. 03:13Node.js로 웹 서버 만들기

이전에 포스팅을 했었기 때문에 이 부분은 건너뛰도록 하겠다. 1. 웹 서버란? 1. 웹 서버란?브라우저를 통해서 naver에 들어가게 되면DNS Server는 naver url이 연결되어 있는 IP address를 저장해뒀다가 알려준다. 만약 DNS Server가 없다면 사용자가 naver에 접속하기 위한 IP address를 외우고 있어야dnjfht.tistory.com 2. HTTP Requests HTTP Requests- HTTP란?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는 HTML 문서와 같은 리소스들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약속)이다.HTTP는 웹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데이터 교환의 기초이며, 클라이언트 · 서버 프로dnjfht.tistory.com 3. St..

HTTP server 구축하기
Backend/Node.js2024. 12. 14. 21:27HTTP server 구축하기

- HTTP module 이용하기Node.js의 Built-in module(Core Module)인 HTTP를 사용하여 server를 구현할 것이다.구현할 것은, 3000 port를 사용하여 localhost에 접근시 Hello, World!라는 문구가 나오게 하는 것이다.아래의 코드를 통하여 구현이 가능하다.const http = require("http");const port = 3000;const server = http.createServer((req, res) => { res.statusCode = 200; res.setHeader("Content-Type", "text/html"); res.end("Hello World!");});server.listen(port, () => { co..

Post 요청으로 데이터 추가하기
Backend/Node.js2024. 8. 30. 05:10Post 요청으로 데이터 추가하기

{a : "a", b : "b"} 객체 데이터에 c : "c"를 추가해줄 것이다.그 다음에 페이지를 리프레쉬 했을 때 추가한 값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해줄 것이다.  데이터를 추가할 때는 fetch 메소드를 사용하여 POST 요청을 보내준다.(Client에서)그렇게 c : "c" 값을 추가해주는 요청을 보내고, 이 요청을 받아주는 부분이 있어야 한다. request.method : 요청 메소드를 반환한다.위쪽에 reqest.method === "POST" && reqest.url === "/home" 조건의 if문을 하나 더 작성해준다.조건에 부합할 때 request.on() 메소드를 실행한다.=> 특정 event를 listen 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을 가지는데,여기서 인자로 'data'와 콜백 함수를 ..

HTTP Routing
Backend/Node.js2024. 8. 30. 01:18HTTP Routing

- HTTP Routing : 어떤 페이지에 어떤 데이터를 보여줄지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home 페이지에서는 javascript 객체를 보여줄 것이며,about 페이지에서는 html을 보여줄 것이며,그 외에 경로를 지정하지 않은 페이지에는 404를 띄울 것이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request 객체가 가지고 있는 url 속성을 사용할 것이다.url은 요청한 URL 문자열을 반환한다. response.stattusCode : 클라이언트에 전송할 상태 코드를 설정한다.response.setHeader() : 지정된 header를 설정한다.response.write() : Client에게 텍스트나 텍스트 스트림을 보낸다. const http = require("http");const port = ..

Stateless Protocol
Backend/Node.js2024. 8. 29. 12:48Stateless Protocol

Stateless : HTTP의 특징 중 하나. Client가 Server에 처음으로 요청을 보내고(ex: 나는 사용자 123),그리고 다음에 Client가 요청을 다시 보낼 때(내가 누군지 알고 있니?)Server는 이 Client가 누군지 모른다.=> 이 이유는 HTTP가 Stateless이기 때문.  상태 비저장 프로토콜(Stateless 프로토콜)은Server가 여러 요청 기간 동안 각 사용자에 대한 정보나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요청을 보낼 때 Status나 요청에 대한 Info를 다 담아서 보내면 어떤 Client인지 Server가 다 알고 있겠지만Status나 Info를 다 넣지 않고서 HTTP 요청을 보내게 된다.그렇기 때문에 Server는 Client가 누구인지 기억할 수 없다. Q...

HTTP Requests
Backend/Node.js2024. 8. 28. 23:11HTTP Requests

- HTTP란?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는 HTML 문서와 같은 리소스들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약속)이다.HTTP는 웹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데이터 교환의 기초이며, 클라이언트 · 서버 프로토콜이기도 하다.클라이언트 · 서버 프로토콜이란?(보통 웹브라우저인) 수신자 측에 의해 요청이 초기화되는 프로토콜을 의미.=> 웹 상에서 통신을 할 때 어떤 형식(HTTP)으로 통신을 하자고 정해놓은 약속.  - HTTP Method란? HTTP 메서드는 수행할 작업의 종류를 나타내기 위하여 서버에 보내는 메시지이다.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브라우저와 서버 간의 더 풍부한 통신이 가능하다.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GET 및 POST. 1. GET Method GE..

728x90
반응형
image